본문 바로가기

Computing26

다음 라이브 에이전트를 계속 설치하라고 나올때... 각종 스포츠 하이라이트를 Daum에서 즐겨보는 저로써, 예전부터 고화질로 보려면 계속적으로 Daum 라이브 에이전트를 설치해야 한다는 ActiveX 창은 정말 불편한 부분이였습니다. 여기저기 검색도 해보았지만, 시원시러운 답을 찾지 못하고 있을때, 다음에서도 이런 사례를 접수받았을 것이라는 생각에 고객센터 페이지를 방문하여 몇번 검색하여 본 결과... 아니나 다를까 유사한 경우의 사례를 찾게 되었습니다. http://cs.daum.net/faq/142/7507.html?faqId=32808 본인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웹에 플러그인 된 프로그램이 제대로 구동되지 않은 것 같지만 한번 해보자는 생각으로 설명된 방법으로 해보니 ActivieX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 것 아닌가.... 2016. 8. 19.
10 things not to buy in 2014 - 사라져가는 기술들... 죽어가는 기술들을 위해서 소비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데... 공금하는 부분도 있고, 안가는 부분도 있네... 1. Cable TV 2. Landline Service 3. GPS Device 4. DVD and Blu-Ray Players 5. Hotel Room 6. 2-Year Phone contracts 7. Desktop and laptop computers 8. Extra legroom in Economy 9. Credit cards with points or miles programs 10. Digital cameras http://www.marketwatch.com/story/10-things-not-to-buy-in-2014-2013-12-27 2014. 1. 10.
Web 3D - Google Body TV, 모니터 뿐만 아니라 웹에서도 3D 시대가 붐이 일어날까? 사실 3D는 먼저 PC에서 구현했다는 것이 맞는 말일 수도 있다. 각종 3D 게임과 3D 컨텐츠 대부분들이 PC에서 개발되었으니... 하지만 PC에서 3D를 구현하는 것이랑 웹페이지를 브라우져를 통해서 3D를 경험하는 것은 조금 차이가 있을 것 같다. 암튼 웹페이지 상에서 3D 처리를 위해 주요 기업들 구글, 모질라, 오페라, 애플과 같은 기업들이 지지하는 WebGL API를 사용하는데 구굴이 WebGL을 기반으로 한 Google Body (http://bodybrowser.googlelabs.com/body.html#)라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인체의 근육, 장기, 골격등을 다양한 각도와 깊이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웹브라우져 업체.. 2011. 6. 21.
[Webinar]6월23일 Windows Embedded Standard7 복구솔루션 온라인 세미나 2011. 6. 20.
Bing Map 어느순간 Microsoft Bing Map이 국내에서 접속이 가능해졌네요.. Microsoft의 검색 서비스인 Bing에서 제공하는 Map서비스인 Bing Map은 과거 국내에서는 서비스를 하지 않았고 국내에서 접근을 하려고 하면 Daum Map이나 콩나물 닷컴으로 이동하였습니다. 구글이 맵서비스를 하면서 MS에서도 시작한 맵서비스인데, 과거 다양한 매스컴에서만 봐왔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측해 보자면 MS Phone7이 국내에 출시가 다가오면서 폰에서 위치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제 국내에서도 접근할 수 있게 하지 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재미삼아 요즘 시끄러운 독도를 찾아봤는데, 없네요...그래도 동해는 일본해와 동해로 병기되어 있네요... 맵서비스는 그래도 국내 포털에서 제공하는 맵들이 자세하고.. 2011. 5. 27.
구글의 음악 서비스 Music by Google Google에서 새롭게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Music 서비스. 기사 내용 (http://bit.ly/kYNYjl)을 보면 스트리밍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로 기존의 애플과 아마존 서비스와 중복이 된다. 고객이 고객 계정의 서버에 2만여곡까지의 곡을 저장하고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컴퓨터에서 스트리밍으로 음악감상을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어떠한 서비스인지 검색해서 들어가 보니...아쉽게 아직 미국에서만 서비스 중이라고 하넹... 암튼 예전에는 인터넷 망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주로 P2P나 온라인 게임이였지만, 요즘에는 기존에 P2P나 게임도 많지만 실시간 동영상 중계서비스나 스트리밍 서비스들도 많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구글의 이런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존에 유사한 서비스를.. 2011. 5. 11.